Open Access 안내
Open Access는 학술 정보를 온라인에서 무료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재정적, 법률적, 기술적 장벽 없이 자유롭게 다운로드, 복제, 보급, 인쇄, 검색, 링크 등의 이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학술 정보의 개방성과 공유를 중시하는 학술 정보 유통 모형으로, 2002년 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BOAI) 선언에서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Open Access 유형
Gold OA (골드 오픈 액세스)
- 개요: 논문을 오픈액세스 저널에 출판하여 누구나 볼 수 있게 공개하는 방식입니다.
- 하이브리드 저널: 투고자가 논문투고료(APC)를 지불해 오픈 액세스로 공개할지 선택할 수 있는 저널입니다.
Green OA (그린 오픈 액세스)
- 개요: 연구자가 자신의 논문을 기관 리포지터리(예: OASIS)나 아카이브(예: arXiv.org)에 저장해 공개하는 방식입니다.
- 저작권 규정: 저널의 저작권 정책에 따라 Pre-Print(투고 전 버전) 또는 Post-Print(심사 후 버전)를 공개할 수 있습니다.
Open Access의 필요성
연구자에게 주는 이점
- 소속 기관의 구독 여부와 관계없이 학술 연구 성과물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학술 연구 성과물의 접근성이 높아져 연구의 영향력이 증가합니다.
- 연구 성과물에 대한 저작권을 출판사에 양도하지 않고 직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대학에 주는 이점
-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학술지 구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기관 리포지터리를 활용해 연구 성과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홍보 및 확산할 수 있습니다.
참고링크
사이트명 | 설명 |
---|---|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 OA저널을 검색할 수 있는 디렉토리 |
Jisc(Open policy finder) | 여러 출판사 저널의 Open Access 정책을 모아놓은 웹사이트 |
SAFE 건전학술활동지원시스템 | 부실하거나 약탈적인 학술지와 학술행사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 |
국가오픈액세스플랫폼 AccessOn | OA 저널 출간 및 셀프 아카이빙을 지원하는 플랫폼 |
국가리포지터리 OAK | 국내 기관 OA 리포지터리에 대한 통합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