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의회 도서관 분류체계 LCC(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POSTECH 도서관에 소장된 자료는 미의회 도서관 분류체계인 LCC를 따릅니다.
우리 도서관은 과학기술 분야의 자료가 많은 과학 특성화 도서관으로, 보다 세부적인 학문 주제 분류를 위하여 일반적인 종합 대학과는 다른 LCC 분류체계를 따르고 있습니다.
주요 학문 분류 영역
A | 일반 | K | 법률 | R | 의학 |
B | 철학 | L | 교육 | S | 농업 |
C-F | 역사 | M | 음악 | T | 기술 |
G | 지리 | N | 미술 | U | 군사학 |
H | 사회과학 | P | 어문학 | V | 해양학 |
J | 정치학 | Q | 순수과학 | Z | 도서관학 |
청구기호(Call Number)란?
청구기호는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된 고유한 주소로 책등에 표시되며 도서의 위치를 정확히 안내합니다.
- 알파벳 코드
- 분류체계의 대주제를 나타냅니다.
- 예) “Q”는 순수과학을 의미하며, “QA”는 그 중에서도 수학을 지칭합니다.
- 세부 분류 숫자
- 해당 주제를 더 세분화하여 특정 주제를 나타냅니다.
- 예) “QA76”은 컴퓨터학에 관한 주제를 뜻합니다.
- 저자 코드
- 책의 저자나 도서명을 기반으로 문자와 숫자 조합으로 구성됩니다.
- 예) “QA76.F45”에서 “F45”는 저자 Richard P. Feynman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 출판년도
- 도서가 출판된 해를 표시합니다.
- 예) “1996”은 출판년도를 의미합니다.
- 복본번호
- 동일한 책이 여러 권 있을 때, 각 복본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예) “C4”는 네 번째 복본임을 나타냅니다.
청구기호 배열 방식
- 알파벳순 배열
- 청구기호의 첫 알파벳에 따라 서가에 알파벳 순서로 배열됩니다.
- 예) Q → QA → TT → Z
- 숫자순 배열
- 동일한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경우, 다음에 나오는 숫자를 보고 번호순으로 배열합니다.
- 예) TJ5 → TJ171 → TJ173
- 소수점 이하 정렬
- 두 번째 문자+숫자 조합은 소수점으로 간주되어 소수점 이하로 배열됩니다.
- 예) TJ173 .C5 → TJ173 .C545 → TJ173 .C7
- 출판년도
- 도서가 출판된 해를 표시합니다.
- 예) “1996”은 출판년도를 의미합니다.
- 출판년도 및 기타 요소
- 출판년도, 볼륨번호, 복본번호 등이 뒤에 따라와 배열 순서를 완성합니다.
- 예) TJ175 .M123 1975 → TJ175 .M123 1978
청구기호 예시

도서명 Feynman lectures on computation
저자 Richard P. Feyman
청구기호 QA76 .F45 1996 C4
QA | QA76 | QA76 .F45 | QA76 .F45 1996 C4 | |
---|---|---|---|---|
설명 | 청구기호의 첫부분에 나오는 문자를 보고 알파벳순으로 서가에 배열된다. | 두권의 책이 동일한 문자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나오는 숫자를 보고 번호순으로 배열한다. | 청구기호의 두 번째 문자+숫자 조합은 소수점 다음에 오게된다. 그 뒤에 따라오는 기호는 소수점이하로 간주하며 한글 가나다순 다음에 알파벳순으로 배열한다. | 청구기호의 끝부분은 출판년도, 볼륨번호, 복본번호를 포함하기도 한다. |
서가에 배열되는 순서 | QA T TA TJ TK TX Z | TJ5 TJ171 TJ173 TJ173.67 TJ175 | TJ173 .김26 TJ173 .홍65 TJ173 .C171 TJ173 .C5 TJ173 .C545 TJ173 .C557 TJ173 .C7 TJ175 .D48 | TJ175 .H34 TJ175 .M123 1975 TJ175 .M123 1978 TK781.67 .M53 .L48 1996 |